"0619 디리클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h
(새 문서: 1805년생. 아래는 [https://ko.wikipedia.org/wiki/페터_구스타프_르죈_디리클레#.EC.82.B6 위키페이지]에서. <blockquote>12살에 본의 한 김나지움(고등학...) |
잔글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 | ||
+ | |||
1805년생. | 1805년생. | ||
아래는 [https://ko.wikipedia.org/wiki/페터_구스타프_르죈_디리클레#.EC.82.B6 위키페이지]에서. | 아래는 [https://ko.wikipedia.org/wiki/페터_구스타프_르죈_디리클레#.EC.82.B6 위키페이지]에서. | ||
7번째 줄: | 9번째 줄: | ||
</blockquote> | </blockquote> | ||
− | 17세에 수학공부를 시작했는데 3년뒤에 | + | 17세에 수학공부를 시작했는데 3년뒤에 ‘르장드르와 함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중 한 경우인 n = 5 인 경우에 대해 증명’ |
참내... ㅎㅎㅎㅎ | 참내... ㅎㅎㅎㅎ |
2017년 6월 19일 (월) 17:17 기준 최신판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
1805년생. 아래는 위키페이지에서.
12살에 본의 한 김나지움(고등학교)에 들어가고, 2년 후에는 쾰른의 예수회 김나지움으로 전학하여 옴의 법칙을 발견한 게오르크 옴의 수업을 들었다. 1822년 파리에서 수학공부를 시작하고, 여기서 당대의 주요 수학자인 장바티스트 비오, 장바티스트 조제프 푸리에, 루이방자맹 프랑쾨르(프랑스어: Louis-Benjamin Francœur), 장 아셰트(프랑스어: Jean Hachette), 피에르시몽 라플라스, 라크루아, 아드리앵마리 르장드르, 시메옹 드니 푸아송등을 만났다.
1825년 르장드르와 함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중 한 경우인 n = 5 인 경우에 대해 증명을 해서 처음 주목을 받게 되었다. 후에 그는 n = 14 인 경우에 대해서도 증명하였다.
17세에 수학공부를 시작했는데 3년뒤에 ‘르장드르와 함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중 한 경우인 n = 5 인 경우에 대해 증명’
참내... ㅎ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