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DA

ph
Admin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6월 12일 (월) 19:3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일단 위키.(여기보면 처음 발표된 논문은 인용이 10k가 넘는 굉장히 기념비적인 논문이라고 함.)

한글로 된 참고자료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겉핥기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를 보면 설명이 formal해서 그렇지 그렇게 어려운 내용은 아닌것도 같다. 첫번째 글과 연계해서 LDA 파라미터 추정: 깁스 샘플링을 써서가 있음.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에는 LDA를 이용한 CF를 다루고 있다. 한글 블로그.

Dirichlet Distribution도 알면 좋은 모양인데 각종 분포가 다 기억이 안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