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李箱) 연서(戀書) 전문
현대문도 있는 기사는 “정희야, 네 입과 목덜미가…” 李箱의 러브레터 전문인데, 현대문이 잘 옮겨진 것인지 의문스러운 구석들이 있어 내가 직접 옮겨보았다. 이것은 아무런 배경지식이 없는 일반인이 옮긴 것이니 신문기사에 실린 것이 더 신뢰할만 한 것이다.
지금 편지를 받았으나 어쩐지 당신이 내게 준 글이라고는 잘 믿어지지 않는 것이 슬픕니다. 당신이 내게 이러한 것을 경험하게 하기 벌써 두 번째 입니다. 그 한번이 내 시골 있던 때입니다.
이런 말하면 우스울 지 모르나 그간 당신은 내게 커다란 고독과 참을 수 없는 쓸쓸함을 준 사람입니다. 나는 다시금 잘 수가 없어지고 이젠 당신이 이상하게 미워지려고까지 합니다.
혹 나는 당신 앞에 지나친 신경질이었는지 모르나 아무튼 점점 당신이 멀어지고 있다는 것을 어느날 나는 확실히 알았고… 그래서 나는 돌아오는 걸음이 말할 수 없이 허전하고 외롭습니다. 그야말로 묘연한 시욋길을 혼자 걸으면서 나는 별 이유도 까닭도 없이 자꾸 눈물이 쏟아지려고 해서 죽을 뻔 했습니다…
집에 오는 길로 나는 당신에게 긴 편지를 씁니다. 물론 어린 애같은, 당신 보면 웃을 편지입니다.
“정희야, 나는 네 앞에서 결코 현명한 벗은 못됐었다. 그러나 우리는 즐거웠었다. 내 이제 너와 더불어 즐거웠던 순간을 무덤 속에 가도 잊을 순 없다. 하지만 너는 나 처럼 어리석진 않았다. 물론 이러한 너를 나는 나무라지도 미워하지도 않는다. 오히려 이제 네가 따르려는 것 앞에서 네가 복되고, 밝기가 거울 같기를 빌지도 모른다.
정희야, 나는 이제 너를 떠나는 슬픔을, 너를 잊을 수 없어 얼마든지 참으려고 한다. 하지만 정희야, 이건 언제라도 좋다. 네가 백발일 때도 좋고 내일이라도 좋다. 만일 네 ‘마음’이 흐리고 어리석은 마음이 아니라, 네 별보다도 더 또렷하고 하늘보다도 더 높은 네 아름다운 마음이 행여 날 찾거든 혹시 그러한 날이 오거든 너는 부디 내게로 와다오–. 나는 진정 네가 좋다. 왠일인지 모르겠다. 네 작은 입이 좋고 목덜미가 좋고 볼따구니도 좋다. 나는 이후 남은 세월을 정해 너를 위해 네가 다시 오기 위해 저 야공(夜空: 저녁 하늘)의 별을 바라보듯 잠잠히 살아가련다…”
하는 어리석은 수작이었으나 나는 이것을 당신께 보내지 않았습니다. 당신 앞엔 나보다도 기가 차게 현명한 벗이 허다히 있을 줄을 알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단지 나도 당신처럼 약아보려고 했을 뿐입니다.
그 러나 내 고향은 역시 어리석었던지 내가 글을 쓰겠다면 무척 좋아하던 당신이– 우리 글을 쓰고 서로 즐기고 언제까지나 떠나지 말자고 어린애처럼 속삭이던 기억이 내 마음을 오래도록 언짢게 하는 것을 어찌할 수가 없었습니다. 정말 나는 당신을 위해– 아니 당신이 글을 쓰면 좋겠다고 해서 쓰기로 한 셈이니까요–.
당신이 날 만나고 싶다고 하니 만나드리겠습니다. 그러나 이제 내 맘도 무한히 흩어져 당신 있는 곳엔 잘 가지지가 않습니다.
금년 마지막날 오후 다섯시에 후루사토[故鄕]라는 집에서 만나기로 합시다.
회답 주시기 바랍니다. 李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