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재들의 머니게임
천재들의 머니게임 전세계 금융시장을 뒤흔든 천재들의 음모
로저 로웬스타인 저 | 한국경제신문사(한경비피) | 2010년 11월 30일
68
메리웨더와 같이 10대 때부터 투자를 해온 뮬린스는 아칸소 대학 총장의 아들로 하버드에서는 대단히 인기 있던 교수였다. [1]
90
그들은 불확실한 큰돈을 위해 도박하기보다 작은 돈을 확실히 줍는 일을 더 선호했다. 잔돈을 한두 푼 끌어들이는 과정을 수천 배로 늘리고, 차입 투기를 통해 그 미미한 마진을 엄청난 크기로 확대할 수 있었다. 물론 잔돈이라도 100% 확실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펀드매니저 스테인하트가 실감했듯이, 차입 투기의 경우 틀린 대가는 감당 불능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1994년에 LTCM은 거의 틀리지 않았다. 그렇기는 커녕 그들이 손댄 모든 거래가 황금으로 변했다.
101
⋯풍부한 자금을 손에 쥔 자신감 넘치는 파트너들은 통 큰 거래를 했고, 다른 사람들이 오래 전에 그만 둔 곳에서 잔돈들을 짜내었다. 한 트레이더는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남들보다 자그마한 불일치에 주목했습니다. 우리는 남들보다 헤지도 더 잘하고 차입거래도 더 잘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108
JP모건의 한 고위 경영자는 리스크를 어떻게 정의하느냐는 물음에 ‘평균을 둘러싼 변동성’이라고 간단하게 대답했다.
115
⋯케이퍼는 머턴의 금융학 강의를 들은 후 수리금융학이 과학이라기보다 믿음, 다시 말해서 ‘모델의 힘에 눈이 먼’ 공상가들의 신념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그것은 질서를 추구하는 지식인들에게는 매력적이더라도 시장이 모델과 다르게 움직이면 그들을 재앙으로 몰고 갈 수도 있는 것이었다.
122
작가 마크 트웨인이 지적했듯이, 역사는 운율을 맞출 뿐이지 반복되는 것은 아니다.
143
LTCM은 증서의 개념을 체이스맨해튼 전체에 퍼뜨렸다. 메리웨더는 심지어 체이스맨해튼의 CEO 월터 시플리에게까지 이 사실을 알렸다. 힐리브랜드는 숄스를 파견하여 옵션 가격에 대한 강의를 해주겠다고 제의까지 했지만, 플러지는 공식을 창안한 장본인과 그에 관한 지식을 겨룰 정도로 바보가 아니었다. 플러지는 옵션 거래 공식의 ‘알파 베타 감마’를 가리키며 일갈했다. “당신들은 이렇게 그리스 문자를 써넣고 너무 똑똑해서 탈이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정말 들어가야 할 그리스 문자는 빠져있구료. 바로 ‘오만’이란 단어요.”
플러지가 지적한 ‘오만’이란 어떤 것인가? 파트너들의 매너나 말투에 오만함은 없었다. 오만함은 더 깊은 곳에 숨어 있었다. 그것은 하버드나 MIT를 다닌 사람들의 오만, 자신이 남들보다 더 지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오만이었다. “우리가 왜 그렇게 많은 돈을 버는지 알아?” 한번은 그레고리 호킨스가 살로먼 시절부터의 오랜 친구에게 물었다. “우리가 더 똑똑하기 때문이야.” 또 한번은 그가 분자생물학을 전공한 동료의 아내에게 분자생물학 강의를 하려고 든 적도 있었다. “당신, 순 엉터리네요.” 마침내 그녀가 한마디 했다.
- ↑ 10대 때부터 투자를 하는 사람들이 생각 외로 많은 모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