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03 무신론 기자, 크리스천 과학자에게 따지다
무신론 기자, 크리스천 과학자에게 따지다 - 과학과 신앙에 얽힌 해묵은 편견 걷어 내기
우종학 (지은이)IVP2014-10-30
목차
59
더 읽을거리
1. 크리스천으로서 기독교 세계관에 대해 관심을 갖고 공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세상에 휩쓸려 가지 않고 하나님 나라의 백성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세상을 보는 바른 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해 읽을 만한 주요 책을 소개한다.
• 신국원, 「니고데모의 안경」(한국 IVP).
• 제임스 사이어, 「기독교 세계관과 현대 사상」(한국 IVP).
• 알버트 월터스, 「창조 타락 구속」(한국 IVP).
2. 기독교 신앙의 틀 안에서 활발히 과학 활동을 해 온 크리스천 과학자의 예는 무궁 무진하다. 특히 과학과 기독교가 충돌할 만한 상황에서 크리스천 과학자가 취한 태도들을 과학사를 통해 공부함으로써 매우 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독자들에게 추천할 만한 책은 다음과 같다.
• 데이비드 린버그 외, 「신과 자연 기독교와 과학 그 만남의 역사(상·하)」(이화여자 대학교 출판부)
• 로널드 넘버스, 「과학과 종교는 적인가 동지인가」(뜨인돌).
?
더 읽을거리
1. 과학과 신앙이란 주제에 관해 추천할 만한 크리스천 과학자의 책은 다음과 같다.
• 존 폴킹혼, 「쿼크, 카오스 그리고 기독교」 (SFC 출판부).
• 알리스터 맥그래스, 「정교하게 조율된 우주」(한국 IVP).
• Owen Gingerich, God's Universe(Harvard Press, 2006).
2. 또한 불가지론자이면서 생물학자인 굴드의 책도 읽어 볼 만하다.
• Stephen Jay Gould, Rocks of Ages(Ballantine Books, 1999).
93
실제로 성경을 보면 이런 예가 많아. 하나님이 제비뽑기를 통해 자신의 뜻을 알려 주는 경우가 꽤 있거든. 제비를 뽑아서 한 사람이 당첨되는 것은 과학적으로 볼 때 외부의 통제나 방향성이 없이 발생하는 우연한 사건이지만, 하나님은 그 사건을 사용해서 자신의 뜻을 드러내시거든. 다시 말하면 과학적으로는 다양한 가능성 중에 하나가 실현된 것으로 설명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사건은 신의 계획이 담긴 사건일 수 있다는 말일세. 그러니까 눈같은 생물의 복잡한 구조가 진화라는 우연한 현상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해도 신은 얼마든지 자신의 설계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지.
99
2. 도킨스에 대한 비판서로는 다음 책들을 참고하라.
• 알리스터 맥그래스, 「도킨스의 신」(SFC 출판부),
• __. 「신 없는 사람들」(한국 IVP).
• 조애나 맥그래스 공저, 「도킨스의 망상」(살림출판사).
• 윤동철, 「새로운 무신론자들과의 대화」(새물결플러스).
3. 진화 이론을 받아들이는 불가지론자의 입장인 마이클 루즈의 책도 읽어 볼 만하다. 마이클 루즈는 진화론과 기독교가 양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는데, 크리스천이 아님에도 그의 대답은 긍정적이다. 기독교를 보는 도킨스의 시각이 극단적이라면 루즈의 시각은 훨씬 균형잡혀 있다.
• 마이클 루즈, 「다윈주의자가 기독교인이 될 수 있는가?」(청년정신).